
성경 구절: 마가복음 7:1-23
1 바리새인들과 또 서기관들 중 몇이 예루살렘에서 와서 예수께 모였더니
2 그의 제자 중 몇 사람이 부정한 손 곧 씻지 아니한 손으로 떡 먹는 것을 보았더라.
3 (바리새인들과 모든 유대인들은 장로들의 전통을 지키어 손을 잘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아니하며…)
성경 말씀 요약
서론
오늘 우리는 마가복음 7장 1-23절의 말씀을 통해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에게 하시는 중요한 교훈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의 당시 사역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당시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통해 이 메시지의 참된 의미를 깊이 있게 살펴봅니다.
1.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의 비판 (마가복음 7:1-5)
먼저,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루살렘에서 와서 예수님의 제자들이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먹는 것을 비판하는 장면을 봅니다. 유대교 전통에서 장로들의 전통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했습니다. 손을 씻는 것은 단순한 청결의 문제가 아니라, 종교적 순결함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행위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비판은 예수님을 향한 것이 아니라, 제자들을 향한 것이었지만, 이는 결국 예수님의 가르침과 권위에 대한 도전이었습니다. 그들은 전통을 지키는 것이 참된 경건함이라고 믿었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고 정죄했습니다.
2. 예수님의 대답과 가르침 (마가복음 7:6-13)
이에 대해 예수님께서는 이사야의 예언을 인용하시면서 그들의 위선을 지적하십니다.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되 마음은 내게서 멀도다”(이사야 29:13). 이는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겉으로는 경건한 행위를 하지만, 그들의 마음은 하나님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을 지적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장로들의 전통을 하나님의 계명보다 우선시하는 것을 비판하십니다. 그들은 전통을 지키기 위해 하나님의 계명을 무시하고, 심지어 이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르반’이라는 전통을 통해 부모를 공경하는 계명을 피해 자신들의 재산을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3. 깨끗함과 더러움의 참된 의미 (마가복음 7:14-23)
그 후 예수님께서는 무리를 다시 불러 말씀하십니다. “무엇이든지 사람 밖에서 들어가는 것이 능히 사람을 더럽게 하지 못하되 오직 사람 안에서 나오는 것이 그를 더럽게 하는 것이니라”(마가복음 7:15). 이 말씀은 당시 유대인의 정결법을 뒤집는 혁명적인 가르침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강조하신 것은 외적인 행위나 전통이 아니라, 마음의 상태였습니다.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은 외부의 것이 아니라, 마음 속에서 나오는 악한 생각, 욕망, 그리고 행위들입니다. 이는 우리의 내면이 얼마나 중요한지, 겉으로 보이는 행위가 아니라, 마음 깊은 곳에서의 순결함이 하나님 앞에서의 참된 경건함임을 뜻합니다.
결론
마가복음 7:1-23의 말씀을 통해 우리는 외적인 전통과 형식에 묶여 하나님을 진정으로 예배하는 마음을 잃어버린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의 모습, 그리고 우리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게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겉모습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내면의 동기를 보십니다.
묵상과 나눔
기도문
사랑의 주님, 오늘 마가복음 7장의 말씀을 통해 우리의 마음을 돌이키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전통에 묶여 진정한 하나님의 뜻을 잃었던 것처럼, 우리도 종종 외적인 행위와 형식에 묶여 하나님을 온전히 예배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주님, 우리의 마음을 깨끗이 하여 주시고, 내면 깊숙이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도록 인도하여 주소서.